남아 있는 청년 비중이 높은


본문
일한 경험이 없거나 미취업 기간이 길수록, 과거 일자리가 저임금·저숙련·불안정할수록 ‘쉬었음’ 상태로 남아 있는 청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쉬었음’ 청년의 쉬는 기간은 평균 22.
7개월이고, 10명 중 7명은 ‘쉬었음기간’을 불안하게 인식한다는.
ⓒ News1 1년 이상 일을 하지 못한 ‘쉬었음’ 청년의 평균 쉬는 기간이 22.
이들 10명 중 1명은 4년 이상 쉬었다고 응답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1일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개최된 2025년도 청년고용 포럼 1차 회의에서 1년 이상.
[앵커] 일이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청년, '쉬었음청년'이라고 부릅니다.
지난해 기준 40만 명을 넘은 걸로 조사됐는데요.
일하고는 싶지만 일하지 못하는 청년들, 왜 이렇게 많은 걸까요.
[리포트] 취업을 준비 중인 이 청년.
7개월로, 이들 10명 중 7명은 이 기간 불안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 경험이 없거나 과거 일자리의 질이 낮을수록쉬었음상태로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고용부, 2025년도 청년고용 포럼 개최쉬었음청년 실태조사 결과·지원방안 논의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쉬었음'을 선택한 청년 10명 중 4명은 원인으로 '적합한 일자리 부족'을 꼽았다.
청년층 고용률은 49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보였다.
제조업, 도·소매업, 건설업 등의 고용이 부진한 영향이다.
◇‘쉬었음’ 청년 50만명 넘어 12일 통계청은 ‘2월 고용 동향’에서 지난달 15~29세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가 50만4000명으로 전년.
7개월에 달하고 10명 중 7명이 해당 기간에 불안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20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구인정보가 게시돼 있다.
청년(15~34세)은 평균 22.
7개월을 쉬고, 4년 이상 쉬는 청년도 약 11%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는 ‘쉬었음’ 상태가 불안하다고 답해 정책 지원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ttp://www.thebluehill2.co.kr/
지난 2024년 10월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취업.
대비 ‘마이너스’가 이어졌고, 제조업 취업자 수도 8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청년 취업자 수와 고용률이 감소하먼서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섰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5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17만.
▲ 취업 정보 게시판을 보고 있는 청년 '쉬었음' 청년이 쉬는 기간은 평균 22.
7개월이며, 10명 중 7명은 이 기간 동안 불안함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1일 1년 이상 '쉬었음' 경험이 있는 청년 3,189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를.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